머리말
추천사
이 책의 구성
Q&A
<첫째마당> 리눅스 다루기, 텍스트 환경에 익숙해지자
1장. 우분투 시작하기
1.1 시스템 관리자에게 필요한 우분투 사용 방법 익히기
- 우분투가 무엇인가요?
- 우분투는 어떻게 다루죠?
1.2 우분투로 서비스 제공하기
- 우분투로 무엇을 합니까?
- 우분투 네트워크 서비스
1.3 시스템 관리 자동화하기
- 시스템 자동화란 무엇인가요?
- 어떤 작업을 자동화합니까?
2장. 우분투 설치하기
2.1 우분투 설치 전 준비하기
- 시스템 정보 모으기
- 자료 저장하기
- 설치 공간 계획하기
- 어떤 우분투를 설치해야 하나요?
- 우분투 내려받기
2.2 우분투 설치하기
- 설치 CD 또는 DVD 이미지로 부팅하기
- 우분투 데스크탑 설치하기
- 우분투 서버 설치하기
2.3 설치 후 마무리하기
- 우분투 데스크탑 한글 입력 문제 해결하기
- 우분투 서버에서 영문 로케일 설정하기
- 네트워크 설정하기
- 패키지 업그레이드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USB 메모리를 이용해서 우분투 설치하기
3장 우분투 다루기
3.1 시작하기, 종료하기
- 로그인하기
- 로그아웃/시스템 종료하기
- 터미널 사용하기
3.2 사용자 관리하기
- 루트 권한 획득하기
- 사용자 계정 관리하기
- sudo 권한 부여하기
3.3 리눅스 파일 관리하기
- 리눅스 파일
- 파일 정보 확인하기
- 파일 정보의 이해
- 소유권 변경하기
- 접근 권한 변경하기
- 리눅스 시스템 디렉터리
- 파일과 디렉터리 다루기
- 파일 내용 확인하기
- 검색하기
- 파일 이름에 정규 표현식 적용하기
3.4 프로세스 관리하기
- 리눅스 프로세스
- 프로세스 확인하기
- 프로세스 종료하기
- 프로세스를 어디에서 실행하는가?
3.5 패키지 관리하기
- 기본 패키지 관리 명령 dpkg
- apt로 패키지 관리하기
3.6 네트워크 관리하기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다루기
- 라우팅 테이블 다루기
- 연결 상태 진단 도구 ping
- netstat로 네트워크 정보 확인하기
3.7 서비스 제어하기
- 리눅스 부팅 과정과 런레벨
- 네트워크 서비스 시작하기
- 런레벨 제어하기
3.8 텍스트 에디터 vi 다루기
- vi 5분 체험하기
- 명령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키
- ex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ex 명령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시스템 관리자의 단짝 친구 셸 스크립트
<둘째마당> 리눅스 네트워크 서버 활용하기
4장 가상 시스템 구축하기
4.1 리눅스 가상 시스템이 무엇인가요?
- 가상 시스템이란
- 리눅스 가상 시스템의 구조
4.2 리눅스 가상 시스템 설치하기
- 가상 기술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 패키지 설치하기
4.3 가상 머신 관리자로 게스트 관리하기
- 가상 머신 관리자 설치하기
- 게스트 생성하기
- 가상 머신 관리자로 게스트 관리하기
- 가상 머신 비디오 어댑터 모델 변경하기
- 가상 머신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4.4 텍스트 환경에서 가상 머신 관리하기
- virt-install로 게스트 생성하기
- virsh로 가상 시스템 관리하기
- 게스트 비디오 어댑터 모델 변경하기
- 게스트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 virt-clone으로 게스트 복제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실습에 필요한 가상 게스트 준비하기
5장 네트워크 구축 과정 실습하기
5.1 가상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원리 이해하기
- 브리지 연결로 외부와 통신하기
- 가상 네트워크 추가하기
5.2 내부 네트워크 연결하기
- 요구 사항 1. 자료 공유를 위한 내부 네트워크를 추가해주세요
- 실습에 사용할 게스트 준비하기
- 가상 네트워크 추가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생성하기
5.3 네트워크 확장하기
- 요구 사항 2. 네트워크를 확장하려고 합니다
- 새로운 네트워크 추가하기
5.4 게이트웨이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하기
- 요구 사항 3.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세요
- 게이트웨이로 네트워크 연결하기
5.5 게이트웨이에서 패킷 제어하기
- 요구사항 4.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만들어주시고 외부로부터 보호해주세요
- iptables 다루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우분투 방화벽 ufw로 시스템 보호하기
6장 SSH로 원격 시스템 안전하게 관리하기
6.1 SSH는 무엇이며 왜 등장했습니까?
- 텔넷의 문제
- 보안 셸, SSH
6.2 SSH로 리눅스 시스템 관리하기
- SSH의 패스워드 인증
- SSH 서버 설치하기
- ssh 활용하기
6.3 공개키 인증으로 시스템 보안 유지하기
- 공개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 공개키 인증 사용하기
6.4 에이전트로 개인키 관리를 편리하게!
- ssh-agent를 이용한 공개키 인증 과정
- ssh-agent를 이용해서 여러 SSH 서버 접속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병렬 ssh를 이용해서 여러 시스템에 ssh 명령 전달하기
7장 파일 서버로 자료 공유하기
7.1 자료 공유,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리눅스 환경에서 자료 공유하기
7.2 NFS로 리눅스 시스템끼리 파일 공유하기
- NFS란 무엇인가요?
- NFS 서버 준비하기
- 공유 디렉터리 마운트하기
- 공유 디렉터리 사용자 권한 유지하기
- 공유 디렉터리 자동 마운트하기
7.3 삼바로 윈도 시스템과 파일 공유하기
- 삼바가 무엇인가요?
- 윈도 게스트 준비하기
- 삼바 서버 준비하기
- 파일 공유 실습하기: 누구나 사용 가능한 공유 디렉터리 설정하기
- 파일 공유 실습하기: 특정 사용자에게 디렉터리 할당하기
- 파일 공유 실습하기: 특정 그룹에게 디렉터리 할당하기
- 윈도에서 공유한 폴더 리눅스에서 사용하기
7.4 FTP 서버로 파일 서버 운영하기
- FTP에 대해 알려주세요!
- FTP 서버, vsftp 준비하기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FTP 서버 운영하기
- 특정 사용자를 위한 FTP 서버 운영하기
- 패시브 모드 FTP 서버 운영하기
7.5 SFTP로 보안 유지하기
- SFTP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 SFTP 서버 설정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자동 마운트 활용하기
8장 웹 서버 운영하기
8.1 인터넷 웹 서비스에 대해 알려주세요!
- 웹 서버란 무엇인가요?
- 동적인 웹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웹 서버
8.2 웹 서버 준비하기
- 아파치 웹 서버를 소개합니다
- 웹 서버 설치하고 웹 서비스 시작하기
8.3 웹 서비스 운영하기
- 도메인 주소로 웹 서버 접속하기
- 웹 문서에 한글 사용하기
- 사용자마다 웹 사이트 운영하기
8.4 데이터베이스와 프로그래밍 언어로 웹 서비스를 다이나믹하게!
- 동적인 웹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프로그래밍 언어
- MySQL, PHP 설치하기
8.5 워드프레스로 블로그 운영하기
- PHP, MySQL 기반 웹 응용 프로그램, 워드프레스
-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 워드프레스로 여러 웹 사이트 운영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아파치 가상 호스트 기능을 이용한 워드프레스 웹 사이트 운영
<셋째마당> 리눅스 시스템 관리 자동화하기
9장 DHCP와 미리 설정 기능으로 우분투 설치 자동화하기
9.1 우분투 시스템 자동으로 설치하기
- 시스템 자동 설치
- 네트워크 설정을 대신 해주는 DHCP 서버
- 하찮은 TFTP 서버로 간단하게 파일 전송하기
- 시스템 자동 설치 과정
9.2 자동 설치 환경 준비하기
- 자동 설치에 필요한 서버 패키지 설치하기
- 네트워크 부팅 준비하기
9.3 우분투 미리 설정 파일 이해하기
- 미리 설정 파일 준비하기
- 미리 설정 파일 수정하기
- 설치가 끝난 후 추가 자동화를 위한 셸 스크립트 처리
9.4 자동 설치 시작!
- 설치 대상 시스템 준비하기
- 설치를 시작합니다
- 설치가 끝났습니다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자동 설치 문제 해결하기
10장 퍼펫으로 시스템 설정 자동화하기
10.1 퍼펫으로 시스템 관리를 자동화합시다
- 퍼펫이 무엇인가요?
- 퍼펫으로 시스템을 제어하는 원리
10.2 퍼펫 준비하기
- 퍼펫 설치하기
- 퍼펫 테스트해보기
10.3 퍼펫을 배워봅시다!
- 매니페스트 작성하기
- 실전! 패키지 설치하기
10.4 퍼펫으로 다른 시스템 제어하기
- 퍼펫 마스터 모드로 실행하기
- 퍼펫 에이전트 인증하기
- 문제가 발생합니다
10.5 퍼펫으로 전체 시스템 관리하기
- vim 편집기로 업그레이드하기
- SSH 공개키 인증 시스템 사용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실무에 퍼펫 도입하기
11장 깃으로 설정 파일 버전 관리하기
11.1 프로젝트 버전 관리 도구 깃, 깃허브
- 깃이란 무엇인가요?
- 깃허브는 또 뭔가요?
11.2 깃 시작하기
- 깃 설치하기
- 파일 추적하고 저장하기
- 파일 수정하기
- 깃 가지치기
11.3 퍼펫 설정 파일 버전 관리하기
- 수정 절차 따라하기
- 작업 되돌리기
- 커밋 복원하기
11.4 버전 관리에 원격 저장소를 사용하기
- 깃허브에 사용자 등록하고 원격 저장소 생성하기
- 수정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로 전송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깃허브를 이용한 시스템 관리 협업
12장 바쿨라로 시스템 백업 자동화하기
12.1 네트워크 백업 도구 바쿨라
- 바쿨라는 어떤 도구인가요?
12.2 바쿨라 설치하고 기본 설정하기
- 바쿨라 설치하기
- 설정하기 전에
- 디렉터 설정하기
- 스토리지 설정하기
- 파일 데몬 설정하기
12.3 바쿨라 콘솔을 이용하여 백업 복원 테스트하기
- 콘솔 설정하기
- 콘솔에서 통신 상태 확인하기
- 백업 테스트
- 복원 테스트
12.4 실전! 백업하기
- 퍼펫 설정 파일 디렉터리 백업하기
- 원격 시스템 파일 데몬 설정하기
<초보 시스템 관리자의 일기> 워드프레스(웹 문서와 데이터베이스) 백업하기
더보기접기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