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벗·이지톡

도서 IT전문서/IT입문서 임베디드/시스템/네트워크

네트워크 구축과 관리의 길잡이

네트워크와 서버를 모르면 클라우드를 쓸 수 없다!

네트워크나 서버를 모르면 클라우드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다. LAN 케이블부터 시작해서 라우터, 스위치 허브, DHCP, 무선 LAN 환경 구축 같은 네트워크 기초부터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확장 기술, 즉 로드 밸런서, 프록시 서버, 클러스터링까지 설명한다. 또한, 네트워크와 서버 관리에 핵심인 유닉스/리눅스 명령어를 설명하고, 백업과 복구 전략을 하드디스크 구조와 함께 설명하고 클라우드 백업까지 소개한다. 마지막에는 인프라 엔지니어의 핵심 무대인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방법까지 담았다.

목차

1장 알쏭달쏭 ‘DHCP 서버 교과서’

1.1 DHCP란 무엇일까요?
1.1.1 DHCP로 보는 네트워크 관리의 변천
1.1.2 IP 네트워크의 구조와 DHCP의 역할
1.1.3 가정에도 있는 DHCP 서버
1.1.4 모바일 라우터와 테더링의 차이
1.1.5 정리

1.2 DHCP 무대의 뒤편
1.2.1 DHCP 프로토콜 완벽 해설
1.2.2 IP 주소 할당의 흐름(전반)
1.2.3 IP 주소 할당의 흐름(후반)
1.2.4 그 밖의 메시지
1.2.5 정리

1.3 DHCP 서버 구축과 운영
1.3.1 KVM 가상 머신으로 실험 환경 구축
1.3.2 DHCP 서버를 구축
1.3.3 DHCP 클라이언트로 동작 확인
1.3.4 DHCP로 고정 IP 주소 설정
1.3.5 정리

1.4 최신 IP 주소 관리 방법
1.4.1 서버 구축 자동화에도 도움이 되는 DHCP
1.4.2 서버 가상화 환경의 DHCP
1.4.3 클라우드 기반 DHCP
1.4.4 스마트폰의 IP 주소와 CGN/LSN의 세계
1.4.5 정리


2장 라우터 교과서

2.1 라우터의 기능과 라우팅 구조
2.1.1 라우터란
2.1.2 L3 스위치와 다른 점
2.1.3 라우팅이란
2.1.4 마지막으로

2.2 라우터에서 이용되는 기술 각론
2.2.1 라우터는 외부 경계
2.2.2 통신에서의 터널 기술
2.2.3 터널 이용 시 주의할 점
2.2.4 WAN 종단 장치로써의 라우터
2.2.5 업무용으로 필수인 우선 제어
2.2.6 트래픽의 시각화
2.2.7 NetFlow를 사용해보자!
2.2.8 시작하면서
2.2.9 LISP가 태어난 배경
2.2.10 LISP의 간접층 - ID(식별정보)와 Locator(위치정보)의 분류
2.2.11 LISP의 구조
2.2.12 LISP 매핑 서비스
2.2.13 LISP에 의한 멀티 호밍
2.2.14 LISP 이용 사례

2.3 활용 범위가 넓어지는 BGP와 Vyatta를 이용한 가상 환경의 라우팅
2.3.1 인터넷을 지탱하는 BGP
2.3.2 인터넷은 AS의 집합
2.3.3 조직간, 조직 내의 라우팅
2.3.4 정책을 반영하여 경로를 최적화
2.3.5 인터넷 이외에서도 사용되는 BGP
2.3.6 IP-VPN 에지로 사용되는 BGP
2.3.7 BGP 정리
2.3.8 대규모 시스템도 클라우드 위에
2.3.9 가상 라우터와 Vyatta
2.3.10 Vyatta를 사용하여 가상 사설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자
2.3.11 정리


3장 스위칭 허브 교과서

3.1 LAN 스위치의 기본
3.1.1 시작하기
3.1.2 LAN 스위치의 개요
3.1.3 학습과 포워딩
3.1.4 VLAN
3.1.5 L3 스위치
3.1.6 정리

3.2 LAN 스위치의 구조
3.2.1 LAN 스위치의 아키텍처
3.2.2 LAN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
3.2.3 고신뢰화

3.3 LAN 스위치의 진화
3.3.1 시작하기
3.3.2 플로우 베이스의 한계 극복
3.3.3 병렬 분산 처리
3.3.4 동적 라우팅과 자율분산제어
3.3.5 지금까지의 레이어2 제어
3.3.6 앞으로의 레이어2 제어


4장 케이블링 교과서(기초)

4.1 LAN 케이블을 둘러싼 환경
4.1.1 Ethernet 이전의 네트워크
4.1.2 Ethernet의 역사
4.1.3 Ethernet 케이블링

4.2 LAN 케이블의 기초와 동작을 학습한다
4.2.1 시작하기
4.2.2 트위스트 페어 이전의 LAN 케이블
4.2.3 규격 명명 규칙
4.2.4 동축 케이블 문제
4.2.5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6 UTP와 STP(실드)
4.2.7 주파수 특성
4.2.8 802.3 규격과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4.2.9 선을 꼬는 이유

4.3 LAN 케이블 만든다
4.3.1 압착공구
4.3.2 LAN 케이블 탈피기
4.3.3 니퍼
4.3.4 LAN 케이블 테스터
4.3.5 LAN 케이블
4.3.6 RJ-45 플러그
4.3.7 스트레이트와 크로스
4.3.8 AutoMDI/MDI-X 문제
4.3.9 마치면서


5장 실천! 케이블링 교과서(응용)

5.1 네트워크 고속화와 와이어링 기술 설명
5.1.1 15년 전의 네트워크 환경
5.1.2 현재 네트워크 환경
5.1.3 최신 와어어링에 대해
5.1.4 배선형태

5.2 LAN 케이블의 구조와 배선 기술
5.2.1 시작하기
5.2.2 LAN 케이블의 성능과 구조
5.2.3 의외로 모르는 케이블의 구조
5.2.4 매우 중요한 배선 기술
5.2.5 LAN 케이블 배선에서 해선 안 되는 일
5.2.6 배선 시공의 실제
5.2.7 프로에게 듣는 LAN 케이블 제작법
5.2.8 측정 시험

5.3 프로에게 듣는 광케이블의 지식과 접속
5.3.1 시작하기
5.3.2 광섬유의 구조
5.3.3 광케이블의 종류
5.3.4 광케이블 연결 방법
5.3.5 광섬유 연결 순서
5.3.6 광케이블 연결 작업


6장 무선 LAN의 교과서

6.1 (현장에서 찾다!) 무선 LAN 환경 구축의 5가지 포인트
6.1.1 ① AP 위치와 설정이 쾌적함을 좌우한다
6.1.2 ② 클라이언트가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6.1.3 ③ 무선 LAN 사용법을 바르게 이해한다
6.1.4 ④ 도입 후 관리도 생각하자
6.1.5 ⑤ 무선 LAN 환경의 미래를 생각한다

6.2 (알고 있는가?) 무선 LAN 환경 구축의 함정
6.2.1 무선 LAN 환경 이용이 적합한 업무, 적합하지 않은 업무
6.2.2 당신이 모르는 액세스 포인트 선택 요령
6.2.3 무선 LAN 사용자 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6.2.4 통신 속도와 안정성, 어느 쪽을 선택하는가?

6.3 (역사로 돌아보다) 무선 LAN 환경 보안과 원활한 운영
6.3.1 무선 LAN의 시작
6.3.2 무선 LAN 환경의 보안
6.3.3 라이브도어의 케이스 스터디
6.3.4 사무실 무선 LAN의 운영
6.3.5 끝으로


7장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위한 프록시 서버 교과서

7.1 역사로 보는 프록시 서버의 역할과 변천
7.1.1 역사로 보는 프록시
7.1.2 포워드와 리버스
7.1.3 프록시 서버의 동작과 이용법
7.1.4 프록시 서버의 변천

7.2 리버스 프록시의 용법과 실례
7.2.1 시작하기
7.2.2 콘텐츠 캐싱
7.2.3 부하분산(로드 밸런싱)
7.2.4 콘텐츠 압축
7.2.5 SSL 가속
7.2.6 싱글사인온
7.2.7 끝으로

7.3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되는 프록시 서버 이용 방법과 이용 사례
7.3.1 시작하기
7.3.2 클라우드형 로드 밸런스 프록시
7.3.3 클라이언트형 콘텐츠 캐시 프록시
7.3.4 클라우드형 보안 프록시
7.3.5 클라우드형 메일 프록시
7.3.6 클라우드형 스토리지 프록시
7.3.7 끝으로


8장 로드 밸런서 교과서

8.1 로드 밸런서에서 ADC로
8.1.1 로드 밸런서의 기능
8.1.2 최신 로드 밸런서의 동향

8.2 소프트웨어 기반 로드 밸런서
8.2.1 시작하기
8.2.2 하드웨어 전용기와 소프트웨어 기반 비교
8.2.3 소프트웨어로 로드 밸런스를 구현하는 방법
8.2.4 소프트웨어 로드 밸런서 구성
8.2.5 Nginx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6 LVS에 의한 로드 밸런스의 실례
8.2.7 HA(이중화) 구성
8.2.8 끝으로

8.3 클라우드상의 로드 밸런서 구현과 이용
8.3.1 클라우드에서의 로드 밸런서
8.3.2 클라우드 벤더에 따라 달라지는 제공 방식
8.3.3 사쿠라 클라우드의 로드 밸런서 기능
8.3.4 DSR 방식에 대해서
8.3.5 사쿠라 클라우드에서 로드 밸런서를 사용해보자
8.3.6 사쿠라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 기능의 이면
8.3.7 끝으로


9장 클러스터링 교과서

9.1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조
9.1.1 멈추지 않는 서비스를 목표로
9.1.2 다운 타임으로 연결되는 장애
9.1.3 클러스터 시스템의 구성 패턴
9.1.4 클러스터 시스템의 성립
9.1.5 클러스터 시스템의 동작
9.1.6 클러스터 시스템 설계

9.2 데이터 센터에서의 클러스터링의 실제
9.2.1 고가용성을 실현하는 클러스터링
9.2.2 고가용성 실현의 전제가 되는 퍼실리티
9.2.3 데이터 센터에서 동작하는 가상화 기반 클러스터링
9.2.4 클라우드 이용 시의 클러스터링
9.2.5 VRRP를 이용한 가상 서버 클러스터링
9.2.6 끝으로

9.3 데이터베이스의 클러스터 구성과 미러링 방식
9.3.1 데이터베이스의 클러스터 구성에서 공통으로 고려할 점
9.3.2 4개의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구성
9.3.3 데이터 미러링 방식의 상세
9.3.4 정리


10장 유닉스 명령어 사용법

10.1 유닉스/리눅스에서 필수인 파일시스템의 기초
10.1.1 파일시스템이란
10.1.2 파일시스템의 종류
10.1.3 ext4 파일시스템
10.1.4 파일시스템 만들기
10.1.5 파일시스템 마운트
10.1.6 파일시스템 복구 방법
10.1.7 root 예약 영역
10.1.8 파일시스템 찾는 방법(UUID와 라벨)
10.1.9 마운트 중인 블록 디바이스를 찾는 방법
10.1.10 파일시스템 크기 변경
10.1.11 끝으로

10.2 유사시를 대비한 매니지먼트 서비스 프로바이더 업무를 지탱하는 명령어
10.2.1 어떤 환경과 상황에서도 변함없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셸은 관리에 필수
10.2.2 CASE 1: 시시각각 줄어드는 남은 디스크 용량
10.2.3 CASE 2: 갑작스러운 다운
10.2.4 CASE 3: 사라진 디스크 이미지
10.2.5 CASE 4: 괜찮은가?
10.2.6 CASE 5: 끝나지 않는 복원
10.2.7 끝으로

10.3 서버 운영과 자동화에 도움되는 핵심 명령어
10.3.1 시작하기
10.3.2 네트워크 관리
10.3.3 파일관리
10.3.4 작업 관리
10.3.5 유저 관리
10.3.6 도구·유틸리티
10.3.7 끝으로

10.4 GUI라서 불편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데스크톱에서도 활약하는 명령어
10.4.1 데스크톱 운영체제에서 명령줄을 사용하는 이유
10.4.2 명령어를 사용해 귀찮은 번거로운 작업을 간단히
10.4.3 CLI 환경을 개선하자


11장 유사시에 대비한 시스템 복구법

11.1 백업의 어제와 오늘, 데이터와 클라우드
11.1.1 예기치 않은 시스템 다운
11.1.2 애초에 백업이란 무엇인가?
11.1.3 유닉스의 백업 명령어
11.1.4 테이프 백업 미디어의 역사
11.1.5 테이프 백업의 함정
11.1.6 HDD 백업은 인터넷 보급 탓
11.1.7 스냅샷의 탄생과 과제
11.1.8 클라우드 백업의 과제란

11.2 유닉스 백업 계열 명령어 복습
11.2.1 데이터 백업의 기본
11.2.2 dump, restore 명령어
11.2.3 dd 명령어
11.2.4 tar 명령어
11.2.5 rsync 명령어
11.2.6 정리

11.3 클라우드의 데이터는 어디로 가나?
11.3.1 시작하면서
11.3.2 E.C.O에서의 백업 운영 검토
11.3.3 Nifty Cloud에서의 백업 운영
11.3.4 유저 데이터 파일 백업(Amanda 이용 예)
11.3.5 MySQL 백업
11.3.6 끝으로

11.4 클라우드 백업의 기본
11.4.1 백업의 실력자! Amazon S3
11.4.2 스냅샷에 의한 백업의 실제(Linux, Windows)
11.4.3 스냅샷의 세대 관리/Cloud Automator
11.4.4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Storage Gateway에 의한 백업
11.4.5 Storage Gateway의 설정
11.4.6 Storage Gateway로 할 수 있는 것
11.4.7 상세 사양 설명
11.4.8 복원 방법이란
11.4.9 정리

11.5 하드디스크의 가나다
11.5.1 시작하며
11.5.2 HDD를 둘러싼 약점들
11.5.3 HDD에 잠재된 위험
11.5.4 HDD 심화 지식
11.5.5 RAID
11.5.6 HDD를 둘러싼 최신 기술
11.5.7 HDD 테스트는 어렵다
11.5.8 끝으로

11.6 복구 전문가에게 묻다: 데이터 복구의 실제
11.6.1 물리 장애
11.6.2 복구 시 읽기 테크닉
11.6.3 서버를 사용한 복구
11.6.4 화재와 HDD
11.6.5 지진해일과 HDD
11.6.6 SSD의 경우
11.6.7 SD 카드와 USB 메모리
11.6.8 기록 포맷
11.6.9 논리 장애
11.6.10 저장 미디어의 신뢰성
11.6.11 복구 비용
11.6.12 복구율과 좋은 업자란

11.7 안정적 운영을 위한 플래시 스토리지 도입 요령
11.7.1 시작하며
11.7.2 HDD와 플래시 스토리지의 차이
11.7.3 실제 도입 디자인을 향해서
11.7.4 끝으로


12장 데이터 센터 만들기

12.1 만들면서 이해하는 기술적 포인트
12.1.1 데이터 센터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을까?
12.1.2 DC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12.1.3 사설 클라우드
12.1.4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DC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12.1.5 백지부터 DC를 만든다
12.1.6 장소를 찾는다
12.1.7 DC용 회선 선택
12.1.8 전력의 가나다
12.1.9 건물
12.1.10 모듈 구조
12.1.11 운용 방법과 요령
12.1.12 DC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거울

12.2 클라우드에서 저궤도 서버 위성까지 트렌드를 추적한다!
12.2.1 시작하며
12.2.2 서버는 몇 대인가?
12.2.3 데이터 센터의 구성
12.2.4 일본 데이터 센터의 동향
12.2.5 운용 감시 비용 경감
12.2.6 끝으로
더보기접기

저자

ㆍ옮긴이 김성재

옮긴이 소개
역자 김성재는 평소 IT 기술에 관심이 많아 컴퓨터 기술 분야의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의 소중함을 새삼 깨닫고 다이어트 앱의 도움을 받아 틈틈이 운동도 병행하며 균형 잡힌 삶을 위해 노력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게임 수학&물리 입문》, 《왜 게임에 빠질까》, 《유니티 게임 제작 입문》 등이 있다.

연관 프로그램

아래 프로그램은 길벗출판사가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안내해 드리니, 지원이 필요하면 해당 프로그렘 제작사로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