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벗·이지톡

도서 자녀교육 임신/출산

엄마 마음을 어루만지는 아름다운 시 100편 수록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의 심순덕 시인이 엄마의 마음으로 엮고 쓰다

《엄마 마음, 태교시》는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로 네티즌이 뽑은 어머니 대표시인으로 선정되기도 한 심순덕 시인이 이 세상 모든 엄마들에게 바치는 첫 번째 태교 시집입니다. 엄마를 그리워하는 딸이자, 곧 결혼할 딸을 둔 엄마로서 시인이 직접 쓴 시 ‘딸들에게’와 각 장을 여는 아이 마중시 5편은 예비 엄마들의 마음에 잔잔한 감동을 선사할 것입니다. 또한 심순덕 시인과 《엄마 마음, 태교》의 저자인 강은정 작가, 두 엮은이가 마음을 담아 골라낸 60편의 보석 같은 시들이 매일 엄마와 아이에게 아름다운 선물로 다가갈 것입니다.

목차

1장 1~2개월 ː 아이 마중
ː 아이 마중시 ː 아주 작고 예쁜 소리가 들려・020
ː 아이 마중글 ː 찬란한 생명의 소리・022
아가에게 — 심순덕・024 / 방문객 — 정현종・025 / 바람 부는 날 — 이해인・026 / 봄의 과수원으로 오세요 — 루미・027 / 땅 — 안도현・028 / 봄 — 김기림・029 / 얼마나 될까? — 홍일도・030 / 한 아이가 태어날 때 — 영화 ‘나자리노’ OST・032 / 이렇게 세상이 아름다운 것은 — 오인태・034 / 생일 — 크리스티나 로제티・036 / 사랑은 그렇게 오더이다 — 배연일・037 / 하늘 — 박두진・038 / 사랑하는 별 하나 — 이성선・040 / 햇빛 일기 — 이해인・042 /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들 —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OST・044 / 물물교환 — 사라 티즈데일・046 / 너를 기다리는 동안 — 황지우・048
ː 아빠 마음, 태교 ː 자녀를 위한 기도 — 더글러스 맥아더・050
ː 써보고 싶은 시 ː・052

2장 3~4개월 ː 아이 생각
ː 아이 마중시 ː 엄마가 되는 거잖아・056
ː 아이 마중글 ː 물소리의 따뜻한 속삭임・058
내가 사랑하는 사람 — 정호승・060 / 어머니에 대한 고백 — 복효근 ・061 / 그리움 1 — 유치환・062 / 그리움 2 — 유치환・063 / 내 마음을 아실 이 — 김영랑・064 / 손님 — 루미・066 / 강가에
서 — 고정희・068 / 시인이 사랑하는 이에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069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신석정・070 / 초원의 빛 — 윌리엄 워즈워스・073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074 / 갈대 — 신경림・076 / 수선화에게 — 정호승・077 / 아니다 — 심순덕・078 / 스며드는 것 — 안도현・081 /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 김소월・082 / 바다와 나비 — 김기림・083 / 아들에게 — 문정희・084
ː 아빠 마음, 태교 ː 아이들은 생활 속에서 배운다 — 도로시 로 놀테・086
ː 써보고 싶은 시 ː・088

3장 5~6개월 ː 아이 성장
ː 아이 마중시 ː 엄마는 꽃을 사러 가고 있단다・092
ː 아이 마중글 ː 바람은 사랑의 알림・094
달이 자꾸 따라와요 — 이상국・096 / 어쩌면 — 댄 조지・097 / 푸른 오월 — 노천명・098 / 자연이 들려주는 말 — 척 로퍼・100 / 바람 — 정지용・102 / 저녁에 — 김광섭・103 / 오우가 — 윤선도・104 / 국화 옆에서 — 서정주・106 / 행복 — 앨런 알렉산더 밀른・107 / 내 마음은 — 김동명・108 / 청포도 — 이육사・110 / 가을의 기도 — 김현승・112 / 고향 — 백석・114 / 미라보 다리 — 기욤 아폴리네르・116 / 아버지의 조건 — 작자 미상・119 / 참나무 — 알프레드 테니슨・120 / 달·포도·잎사귀 — 장만영・122
ː 아빠 마음, 태교 ː 아이들을 위한 기도 — 김시천・124
ː 써보고 싶은 시 ː・126

4장 7~8개월 ː 아이 사랑
ː 아이 마중시 ː 사랑, 그것밖에・130
ː 아이 마중글 ː 바다처럼 너른 사랑으로・132
알 수 없어요 — 한용운・134 / 바닷가에서 — 오세영・136 / 낮이 가만히 — 라이너 마리아 릴케・138 / 풀꽃 — 나태주・139 / 보리수 — 빌헬름 뮐러・140 / 꽃이 예쁜가요, 제가 예쁜가요 — 이규보・142 / 고추잠자리에게 — 김미영・143 / 이니스프리의 호수 섬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144 / 청노루 — 박목월・145 / 눈 오는 저녁 숲에 서서 — 로버트 프로스트・146 /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 알렉산드르 푸시킨・148 / 복종 — 한용운・149 / 나뭇잎 나뭇잎 — 김은자・150 / 목장 — 로버트 프로스트・151 / 오다가다 — 김억・152 / 별을 쳐다보며 — 노천명・154 / 아이들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155 / 밤의 이야기·20 — 조병화・158
ː 아빠 마음, 태교 ː 아이들은 신에게 받은 선물이다 — 산드라 톨슨・160
ː 써보고 싶은 시 ː・162

5장 9~10개월 ː 아이 탄생
ː 아이 마중시 ː 무조건 내 편을 들어주는 사람・166
ː 아이 마중글 ː 이제 부부에서 가족으로・168
결혼에 대하여 — 칼릴 지브란・170 / 너를 위한 시간 — 작자 미상・172 / 아침 송 - 떠남 — 유자효・173 / 겨울 강가에서 — 우미자・174 / 인생 — 샬럿 브론테・176 / 나의 꿈 — 한용운・177 / 산 — 김광섭・178 / 가장 아름다운 것 — 로버트 브라우닝・181 / 남으로 창을 내겠소 — 김상용・182 / 다름 아니라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183 / 해 — 박두진・184 / 완두콩 — 작자 미상・186 / 성공이란 무엇인가 — 랠프 월도 에머슨・188 / 마음의 평화를 위한 특효약 — 헨리 러더퍼드 엘리엇・190 / 밤은 천 개의 눈을 — 프란시스 버딜론・192 / 나무들 — 김남조・193 / 민물새우는 된장을 좋아한다 — 이재무・196 / 활짝 편 손에 담긴 사랑 — 에드나 밀레이・198 /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 심순덕・199
ː 아빠 마음, 태교 ː 큰 싸움 — 작자 미상・202
ː 써보고 싶은 시 ː・204
더보기접기

저자&기여자

ㆍ지은이 심순덕

소개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가 『좋은생각』100호 기념 이벤트를 통해 TV동화 행복한 세상에 방송되며 널리 알려졌다. 이효석 전국 백일장 장원, 김삿갓 전국 백일장 장원, 한국문인 시 문학상, 소월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중학 교과서에도 수록되었다. 시집으로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가슴속에 사는 이름』, 『내 삶에 詩를 심다』가 있으며, 『엄마 마음, 태교시』를 엮었다.

저작권 안내

모든 자료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 허락 없이 편집하거나 다른 매체에 옮겨 실을 수 없습니다.
인공지능(AI) 기술 또는 시스템을 훈련하기 위해 자료의 전체 내용은 물론 일부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All materials are protected by copyright law and may not be edited or reproduced in other media without permission.
It is prohibited to use all or part of the materials, including for tra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or systems, without authorization.

연관 프로그램

아래 프로그램은 길벗출판사가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안내해 드리니, 지원이 필요하면 해당 프로그렘 제작사로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