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회계가 나타났다!
01 | 인류 역사에 회계가 등장했다 
02 | 회계, 모습은 다양하지만 원형은 하나다 
03 | 회계를 몰라서 생기는 일 
04 | 내집마련과 회계 
PART 2. 회계에 관한 몇 가지 약속들
05 | 회계의 시작은 발생주의 회계의 이해부터다 
06 | 원가를 알아야 순이익을 제대로 계산한다! 
07 | 회계사도 어렵다, 발생주의 & 복식부기 
08 | 자동차를 얻고 돈을 잃었다, 등가교환의 법칙 
09 | 직장인의 구세주 혹은 원수, 복식부기 
10 | 우리끼리 이렇게 하기로 약속하는 회계기준 (GAAP) 
11 | 결산, 회계팀이 연말에 바쁜 이유 
12 | 빛 좋은 개살구, 분식회계 
13 | 회계감사는 크로스체킹이다
14 | 회계감사 의견의 진실 
15 | 회계감사에도 한계는 있다
PART 3. 재무제표를 읽는 힘
16 | 재무제표는 투자자를 위해 탄생했다
17 | 재무제표의 두 가지 성격 
18 | 너의 이름은 계정 
19 | 시작은 재무상태표다 
20 | 희대의 스캔들, 부채, 자본 그리고 자산 
21 | 닮은 곳 없는 이란성쌍둥이, 자본과 부채 
PART 4. 투자자를 위해 탄생했다는 재무상태표
22 | 서로 바꿔 입을 수 있는 옷, 유동과 비유동 
23 | 재무상태표 쪼개기, 자산 
24 | 재무상태표 쪼개기, 부채 
25 | 재무상태표 쪼개기, 자본 
26 | 유형자산은 아무나 되는 게 아니다 
27 | 
특이한 유형자산을 가진 기업들 
28 | 건물주를 꿈꾸는 것과 회계 
29 | 주식 투자왕과 회계
30 | 무형자산은 산소 같은 자산이다 
31 | 특이한 무형자산을 가진 기업들 
PART 5. 발생주의가 만들어낸 계정과목 대격돌
32 | 수많은 계정과목의 탄생 비화 
33 | 비슷해서 헷갈리는 계정과목 모아보기 
34 | 미래의 손실을 알려주는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35 | 재고자산과 매출원가
36 | 에누리와 할인, 환입과 환출 
37 | 한 방에 비용으로 인식하긴 싫었어, 감가상각
38 | 퇴직금을 받을 권리
39 | 재테크할 땐 퇴직연금 
40 | 퇴직연금 회계 
PART 6. 그래서 얼마 벌었니? 손익계산서
41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42 | 손익계산서의 빅픽처
43 | 수익 매출액과 영업외수익이 전부다 
44 | 수익 많이 쓰이는 수익 계정과목 
45 | 비용 이름 그대로 쓰이는 비용들 
46 | 이익 회사가 벌고 쓴 뒤 남은 돈 
47 | 이익 이익 계정과목 
48 | 손익계산서와 당기순이익 
49 | 회계에서는 세금이라고 다 같은 세금이 아니다 
PART 7. 회사의 쌀가마니 세어보는 현금흐름표
50 | 현금흐름표는 왜 작성할까? 
51 | 현금을 3개로 나눠라! 
52 | 현금흐름표는 현금주의 회계를 따른다 
53 | 대표적인 기업들의 현금흐름표 
PART 8. 어엿한 재무제표 형제들, 자본변동표와 주석
54 | 자본과 주식의 은밀한 관계
55 | 자본이란 
56 | 자본변동표는 오지랖이 넓다 
57 | 주석, 얕보다간 큰일난다 
58 | 주석이 중요한 이유 
[부록] 기업 건강성 한눈에 보는 핵심 재무비율
재무비율, 왜 알아야 할까
재무비율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재무비율의 활용 
유동성비율
안정성비율 
수익성비율
활동성비율
									
									더보기접기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