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 가면 왜 마음이 편안해지는가?” - 치유의 메커니즘은 어떻게 깨어나는가
“세상을 치유하려는 신경건축가들의 따뜻한 분투기”
내 삶의 공간을 뇌와 마음, 힐링과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들여다보게 해주는 매력적인 책
_정재승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나의 힐링 스페이스는 어디일까
공간과 치유의 심리학
‘신경건축학’이라는 시도
스턴버그는 지금껏 감각, 정서, 면역체계를 둘러싼 복잡한 관계들을 밝혀낸 심리학과 뇌과학, 의학 연구의 역사로 우리를 끌어들인다. 그 첫머리에 나오는 한 가지 예는 바로 ‘창밖으로 자연 경관이 내다보이는 병실의 환자들이 창밖으로 콘크리트 벽만 바라봤던 환자들보다 빨리 나았다’는 1980년대 연구다. 쾌적한 풍경이 보인다고 해서 어떻게 병이 빨리 나을 수 있었을까? 저자는 감각의 뇌과학적 경이로움을 보여주는 일련의 장소와 상황들을 탐색하며 이 질문의 답을 찾아나간다.
몸과 마음, 아픔과 활력, 감각과 공간 사이
놀라운 상호작용을 탐사하다
경쟁과 도시와 신자유주의에 지친 사람들에게 힐링은 책, 음식, 여행, 대중문화, 각종 제품 등 의식주 전반에 걸친 트렌드가 되었다. 사람들은 이제 더 크고 더 화려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치유시켜주고 자신에게 더 잘 맞는 것을 본능적으로 찾기 시작한다. 획일적인 주거형태를 향한 갈망을 버리고 작은 단독주택이나 개성 있는 공간에 관심을 보이며, 신종 전염병에 긴장하고, 길어진 삶에 대비해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고 싶어 한다.
《힐링 스페이스》는 우리를 둘러싼 외부 환경과 몸속의 변화, 감정과 기억 사이에서 어떤 놀라운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 밝히는 것에서 시작한다. 우리가 숨 쉬고 살아가는 공간이 우리의 몸과 마음에 영향을 끼친다는 상식적인 믿음에 근거를 제시하고, 집, 마을, 도시, 세계로 시각을 넓혀가며 좀 더 근본적인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2013 출간된 <공간이 마음을 살린다>의 개정 신판입니다.
추천의 글|행복을 위한 건축, 건축을 위한 신경과학
프롤로그|삶의 안식처를 찾아서
1부. 치유가 시작되는 곳, 당신의 머릿속
1. 심리학이 건축을 만났을 때
창밖 풍경이 당신을 치유한다
신경건축학의 태동
뇌와 건축의 오래된 만남
치유의 메커니즘을 찾아서
그곳에 가면 영감이 떠오른다
2. 우리가 보는 것이 우리를 치유한다
뇌가 세상을 이해하는 법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풍경의 비밀
빛과 색깔이 기분을 바꾼다
시각의 강력한 조건형성
3.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소리
소리는 어떻게 감정이 되는가
정적, 소음, 놀람
록 뮤지션, 신경과학자가 되다
음악을 들으면 정말 치유에 도움이 될까?
4. 손끝과 코끝으로 찾는 치유
공기 중에 떠도는 정보들
공포의 냄새, 행복의 향기
동방박사는 왜 예수에게 유향을 선물했을까
아기를 많이 안아줘야 하는 이유
2부⋮공간과 기억이 빚어내는 마술
5. 스트레스의 세계에서 살아남는 법
해리 포터를 불안하게 만든 것
선 것과 마주치는 순간
걷고, 숨 쉬고, 치유하다
면역력을 높이려면? 명상하거나 운동하거나!
미궁을 따라 걸어보세요
6. 현대 건축의 심리학적 모험
천재 건축가와 디즈니의 만남
창안자들, 환상을 창조하다
길 찾기의 신경과학
7. 기억과 길 찾기의 뇌과학
“내 기억에다 무슨 짓을 한 거요?”
기억이 ‘나’를 만든다
아프던 때의 기억이 희미한 이유
면역의 비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디즈니랜드를 닮은 요양원
3부⋮힐링 스페이스를 찾아서
8. 사람들은 왜 산티아고로 떠나는가
성모 마리아의 기적
강렬한 기쁨, 깊은 평온이 낳은 치유
명상하고 기도하는 동안 벌어지는 일
9. 몸속 치유의 경로를 깨우는 법
플라시보 효과와 뇌에서 분비되는 마약
면역도 학습된다
루르드의 기적을 재현하다
호르몬과 긍정적 감정이 만나면
10. 더 나은 삶을 위하여
‘근거중심 설계’의 탄생
병원의 무시무시한 역사
부부 싸움을 하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이유
커크브라이드의 이상적 실험
‘자연친화 설계’의 진전
병원의 미래를 만드는 시도
인간을 위한 과학, 치유하는 디자인
에필로그|이제, 도시와 세계를 바꿔라
참고문헌
ㆍ지은이 에스더M.스턴버그
ㆍ옮긴이 서영조
ㆍ감수 정재승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