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입문자를 위한 TCP/IP 가이드북!
메신저로 다른 사람과 대화를 주고받거나 유튜브 및 기타 플랫폼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소통하는 등 우리는 일상에서 당연하게 인터넷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다. 인터넷과 관련된 최신 기술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TCP/IP는 인터넷 네트워크의 핵심 프로토콜로, 대다수 프로그램은 TCP/IP로 통신하고 있다. 따라서 TCP/IP 하나만으로도 네트워크 핵심을 파악할 수 있다. 『TCP/IP 교과서』는 TCP/IP의 기초 – 활용 - 실무까지 단계별로 접근해 네트워크를 전반적으로 설명한 책이다. 게다가 이메일, 실시간 스트리밍, 클라우드 등 TCP/IP가 적용되는 다양한 서비스와 최신 기술까지 소개하기 때문에 이 책 한 권으로 충분히 네트워크 관련 지식을 익힐 수 있다. 또한, 각 장마다 연습 문제와 퀴즈, 핵심 용어까지 수록해 확실하게 복습하고 마무리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제대로 배우고 싶다면 『TCP/IP 교과서』로 시작해보자!
1부 TCP/IP 기초 1장: TCP/IP란? 1.1 네트워크와 프로토콜 1.2 TCP/IP의 개발 1.3 TCP/IP의 기능 1.4 표준 조직 및 RFC 1.5 요약 1.6 Q&A 1.7 워크숍 1.8 핵심 용어 2장: TCP/IP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2.1 TCP/IP 프로토콜 시스템 2.2 TCP/IP 그리고 OSI 모델 2.3 데이터 패키지 2.4 TCP/IP 네트워킹에 대한 간략한 설명 2.5 요약 2.6 Q&A 2.7 워크숍 2.8 핵심 용어 2부 TCP/IP 프로토콜 시스템 3장: 네트워크 접근 계층 3.1 프로토콜과 하드웨어 3.2 네트워크 접근 계층과 OSI 모델 3.3 네트워크 아키텍처 3.4 물리 주소 3.5 이더넷 3.6 이더넷 프레임 분석 3.7 요약 3.8 Q&A 3.9 워크숍 3.10 핵심 용어 4장: 인터넷 계층 4.1 IP 주소: 작은 맥락 4.2 주소 지정 및 전달 4.3 인터넷 프로토콜 4.4 주소 확인 프로토콜 4.5 역 ARP 4.6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4.7 요약 4.8 Q&A 4.9 워크숍 4.10 핵심 용어 5장: 서브넷팅과 CIDR 5.1 서브넷 5.2 네트워크 나누기 5.3 기존 방식: 서브넷 마스크 5.4 새로운 방식: CIDR 5.5 요약 5.6 Q&A 5.7 워크숍 5.8 핵심 용어 6장: 전송 계층 6.1 전송 계층 소개 6.2 전송 계층의 개념 6.3 TCP와 UDP 이해하기 6.4 방화벽과 포트 6.5 요약 6.6 Q&A 6.7 워크숍 6.8 핵심 용어 7장: 응용 계층 7.1 응용 계층은 무엇인가 7.2 TCP/IP 응용 계층과 OSI 7.3 네트워크 서비스 7.4 API와 응용 계층 7.5 TCP/IP 유틸리티 7.6 요약 7.7 Q&A 7.8 워크숍 7.9 핵심 용어 3부 TCP/IP를 이용한 네트워크 8장: 라우팅 8.1 TCP/IP에서의 라우팅 8.2 복잡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8.3 내부 라우터 파헤치기 8.4 외부 라우터: BGP 8.5 클래스리스 라우팅 8.6 스택에서 더 높게 8.7 요약 8.8 Q&A 8.9 워크숍 8.10 핵심 용어 9장: 연결하기 9.1 케이블 광대역 9.2 디지털 가입자 회선 9.3 광역 네트워크 9.4 무선 네트워크 9.5 전화 접속 네트워크 9.6 연결 장치 9.7 스위치 vs 라우팅 9.8 요약 9.9 Q&A 9.10 워크숍 9.11 핵심 용어
10장: 이름 확인 10.1 이름 확인은 무엇인가 10.2 호스트 파일을 사용한 이름 확인 10.3 DNS 이름 확인 10.4 도메인 등록하기 10.5 이름 서버 유형 10.6 동적 DNS 10.7 NetBIOS 이름 확인 10.8 요약 10.9 Q&A 10.10 워크숍 10.11 핵심 용어 11장: TCP 보안 11.1 방화벽은 무엇인가 11.2 공격 기술 11.3 침입자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11.4 요약 264 11.5 Q&A 264 11.6 워크숍 11.7 핵심 용어
12장: 구성 12.1 네트워크 연결하기 12.2 서버를 제공하는 IP 주소의 예 12.3 DHCP란 무엇인가 12.4 DHCP 작동 원리 12.5 DHCP 서버 구성 12.6 네트워크 주소 변환 12.7 제로 구성 12.8 TCP/IP 구성하기 12.9 요약 12.10 Q&A 12.11 워크숍 12.12 핵심 용어
13장: IPv6 13.1 왜 새로운 IP를 쓸까 13.2 IPv6 헤더 형식 |
13.3 IPv6 주소 지정 13.4 서브넷팅 13.5 멀티캐스팅 13.6 링크 로컬 13.7 인접 탐색 13.8 자동 구성 13.9 IPv6와 서비스 품질 13.10 IPv4가 있는 IPv6 13.11 IPv6 터널 13.12 요약
14장: 연결 문제 14.1 연결 문제 14.2 프로토콜 장애와 잘못된 구성 14.3 회선 문제 14.4 이름 확인 문제 14.5 네트워크 성능 문제 14.6 텔넷 14.7 버클리 원격 유틸리티 14.8 보안 셸 14.9 네트워크 관리 14.10 요약 15장: 클래식서비스 15.1 HTTP 15.2 이메일 15.3 FTP 15.4 단순 파일 전송 프로토콜 15.5 파일 및 프린트 서비스 15.6 경량 디렉터리 접근 프로토콜 15.7 원격 제어 15.8 요약 15.9 Q&A 15.10 워크숍 15.11 핵심 용어 16장: 인터넷: 자세히 들여다 보기 16.1 인터넷의 모습 16.2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일 16.3 URI와 URL 16.4 요약 16.5 Q&A 16.6 워크숍 16.7 핵심 용어 17장: HTTP, HTML, 그리고 WWW 17.1 월드 와이드 웹은 무엇인가 17.2 HTML 이해하기 17.3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 17.4 HTTP 이해하기 17.5 스크립팅 17.6 웹 브라우저 17.7 시맨틱 웹 17.8 XHTML 17.9 HTML 17.10 요약 17.11 Q&A 17.12 워크숍 17.13 핵심 용어 18장: 웹 서비스 18.1 콘텐츠 관리 시스템 18.2 소셜 네트워킹 18.3 피어 투 피어 18.4 웹 서비스 이해하기 18.5 XML 18.6 SOAP 18.7 WSDL 18.8 웹 서비스 스택 18.9 REST 18.10 전자 상거래 18.11 요약 18.12 Q&A 19장: 인크립션, 트랙킹, 프라이버시 19.1 암호화 및 비밀 19.2 추적 19.3 익명 네트워크 19.4 요약 19.5 Q&A 19.6 워크숍 19.7 핵심 용어 4부 TCP/IP 실무 20장: 이메일 20.1 이메일은 무엇인가 20.2 이메일 형식 20.3 이메일 작동 방식 20.4 SMPT 20.5 메일 검색 20.6 이메일 클라이언트 20.7 웹 메일 20.8 스팸 20.9 피싱 20.10 요약 20.11 Q&A 20.12 워크숍 21장: 스트리밍과 캐스팅 21.1 스트리밍 문제 21.2 멀티미디어 파일의 간단한 소개 21.3 실시간 전송 계층-UDP를 통한 스트리밍 21.4 RTMP-TCP를 통한 스트리밍 21.5 SCTP 및 DCCP-전송 계층 대체하기 21.6 HTTP를 통한 스트리밍 21.7 HTML5와 멀티미디어 21.8 팟캐스팅 21.9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21.10 요약 21.11 Q&A 21.12 워크숍 21.13 핵심 용어 22장: 클라우드 22.1 클라우드는 무엇인가 22.2 프라이빗 클라우드 22.3 컴퓨팅의 미래 22.4 요약 22.5 Q&A 22.6 워크숍 22.7 핵심 용어 23장: 사물 인터넷 23.1 사물 인터넷은 무엇인가 23.2 IoT 플랫폼 23.3 MQTT 가까이서 살펴보기 23.4 RFID 23.5 요약 23.6 Q&A 23.7 워크숍 23.8 핵심 용어 24장: TCP/IP 네트워크 실행하기 24.1 하이퍼테크니컬㈜의 간략한 역사 24.2 모리스의 일주일 24.3 요약 24.4 Q&A 24.5 워크숍 24.6 핵심 용어 부록 A 퀴즈 및 연습 문제 풀이 |
ㆍ지은이 조캐서드
ㆍ옮긴이 정용석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