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통계, 산업구조, 정부규제, 불평등 등 방대한 데이터와 논증으로 밝힌 저성장 시대의 경제 해법
인구 변화, 생산성 위기, 불평등, 기후 변화, 생태계 위협…
코로나19 이전부터 시작된 거대한 변화의 물결
세계 경제는 이제 ‘새로운 성장의 축’이 필요하다!
- 월스트리트저널, 워싱턴포스트, 파이낸셜타임스, 뉴요커 강력 추천
- 이코노미스트 2020 올해의 베스트 도서
- ‘경제 성장’에 관한 도발적인 연구로 미국 경제학계의 주목을 받은 화제의 책
이 책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에도 왜 성장이 가속화되지 않는가’, ‘무엇이 경제 성장을 정체시키는가’, ‘성장 없이도 경제는 발전할 수 있는가’ 등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경제 성장과 침체의 본질을 방대한 데이터와 논증을 제시하며 탐구한다. 그 과정에서 저성장 또는 성장 둔화는 기존의 고정관념처럼 골칫거리가 아니며 ‘우리가 이룩한 경제 성공의 결과’라고 말한다. 오랫동안 ‘성장 경제(Growth Economy)’를 연구해온 경제학자 디트리히 볼래스는 이 파격적인 주장을 통해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에서 진정한 경제 발전을 위해 지금 우리가 무엇을 논의하고 기준 삼아야 하는지 새로운 화두를 던진다.
추천의 글_ 홍성국 《수축사회》 저자, 전 미래에셋대우 사장, 현 국회의원
한국어판 서문_ ‘성장’과 ‘행복’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하다
들어가며_ 이미 다 성장한 세계
1. 우리가 선택한 성공의 결과
2. 성장 둔화란 무엇일까?
3. 경제 성장에 필요한 생산요소 투입량
4. 무엇이 성장 둔화를 설명할까?
5. 인구 고령화의 영향
6. 생산성과 기술의 차이
7. 상품에서 서비스로의 전환
8. 보멀의 비용 질병
9. 시장 지배력과 생산성
10. 시장 지배력과 투자율의 하락
11. 시장 지배력의 필요성
12. 기업과 직업에서 발생하는 재분배
13. 지리적 이동성의 둔화
14. 정부가 성장 둔화를 유발했을까?
15. 불평등이 성장 둔화를 유발했을까?
16. 중국이 성장 둔화를 유발했을까?
17. 성장의 미래
ㆍ지은이 디트리히볼래스
ㆍ옮긴이 안기순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