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빼고 친구들은 다 한단 말이에요….”
부모 마음이 약해지는 그 순간, 게임은 아이 마음을 파고든다. 눈물 없는 볼 수 없는 게임에 빠진 아들 구하기 프로젝트!
제발 게임 좀 하라고 아이를 등 떠미는 부모는 별로 없을 것이다. 아이 셋 아빠 김평범 씨 역시 여느 부모와 같았다. 초등학생 큰아들이 “키즈폰은 쪽팔려서 못 가지고 다니겠어요” “스마트폰 없어서 나만 단톡방 못 들어가요” 하고 호소하자, 소중한 내 아이가 왕따를 당할까 걱정돼 스마트폰을 사주었다. 그리고 “친구들이 나 빼고 다 게임에서 모인다고요” 하고 계속 푸념하기에, 친구들과 못 어울릴까 봐 어쩔 수 없이 단순한 게임 하나 까는 걸 허락했을 뿐이다. 그걸 시작으로 아이는 게임의 유혹에 풍덩 빠져버렸다.
아이가 게임 중독에 빠진 것조차 부모는 한참 동안 몰랐다. 아이가 철저히 숨어서 게임을 했기 때문이다. 《어쩔 수 없이 허락했는데, 어느새 게임 중독》은 스마트폰을 빼앗아도 부모 눈을 피해 어떻게든 게임 세상으로 다시 끌려들어 가고야 마는 아이와, 그때마다 무너지는 신뢰를 붙잡고 다시 한 번 아이를 믿고 포기하지 않은 부모의 눈물겨운 사투의 기록이다. 그 어디서도 속 시원한 해답을 찾기 힘든, 게임 중독의 출구로 가는 길을 찾아낸 평범한 아빠의 3년간의 고군분투를 담았다.
프롤로그. 아이를 향한 부모의 모든 노력을 ‘제로’로 만드는 것, 게임
게임 중독 진단을 위한 셀프 체크 10문항
PART 1. 초5 아이가 새벽 4시 30분에 깨어났던 이유
아들을 잃다
전쟁의 서막 • 내가 알던 아들은 어디로 • 잠깐의 휴식과 내가 바꾼 것 • 앵그리버드와 버블버블의 다른 점 • 2G폰에서 타협하지 말걸 • 비극의 시작 • 게임이 아들을 지배하는 방식 • 얼마나 더 실망할 수 있을까 • 바스라진 믿음, 견고한 장치 • 게임 머니 •게임의 폐해 1: 거짓말이 습관이 되다 • 게임의 폐해 2: 아들이 쓰는 말이 달라졌다 • 친구들도 다 하는데 • 가벼운 게임은 괜찮지 않을까 • 아이의 시간은 어른의 시간과 다르다
PART 2. 게임 회사는 그 가면을 벗어라
진짜 나쁜 자들의 변명
게임 회사 = 가정파괴범 • 게임을 바라보는 네 가지 유형 • 요즘 아이들이 꿈꾸는 직업은 • 혹시 게임 회사에 입사할 수 있을까 • 게임이 산업이라고? • 도박보다 더 위협적인 가족해체의 주범 • 게임 회사 사장 자녀도 게임을 할까 • 나쁜 약은 달콤하다 • 퀘스트라는 끝없는 늪 • 사육되는 아이들 • 게임 회사가 유저에게 원하는 것 • 아이들에게는 죄가 없다
PART 3. 일생에 한 번, 반드시 이겨야 할 싸움이 있다
게임 전쟁에서 승리하는 법
‘딜’이 필요한 시간 • 필요조건 1: 아이가 스스로와의 싸움이라는 걸 깨닫는다 • 필요조건 2: 부모의 역할을 확실히 인지한다 • 나는 아들을 게임 중독에서 구할 수 있는 부모인가? - 셀프 체크 10문항 • 주의할 점 1: 게임 중독 징후, 초기에 알아보는 법 • 주의할 점 2: 사춘기랑 헷갈리지 말자 • 주의할 점 3: 게임에 중독되는 시간, ‘찰나’ • 부모의 착각 1: 게라밸이 가능하지 않을까? • 부모의 착각 2: 부모가 잘만 하면 게임을 조절할 수 있다 • 부모의 착각 3: 게임이랑 공부, 둘 다 잘할 수 있다? • 길을 찾아보다 1: 게임 중독을 이겨낸 형들을 찾아서 • 길을 찾아보다 2: 살다 살다 논문까지 읽게 될 줄은 몰랐다 • 솔루션 1: 매일보다는 매주가 낫고, 매주보다는 매달이 낫다 • 솔루션 2: 스마트폰, 풀어주되 확인한다 • 솔루션 3: 아이가 뭘 하고 있는지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 솔루션 4: 사생활의 자유가 게임의 자유가 되어선 안 된다 • 무엇이 필요할까 1: 포기하지 않는 것 • 무엇이 필요할까 2: 낭비한 시간은 돌아오지 않는다 • 무엇이 필요할까 3: 부모의 관심이 아이를 구한다 • 게임 중독에서 탈출하기 위한 요건 3 • 부모로서 잘한 것 1: 믿음 • 부모로서 잘한 것 2: 지켜보기 • 부모로서 잘한 것 3: 꿈을 찾기
PART 4. 게임을 혐오하는 건 그 자체로 ‘선善’이다
게임 중독 예방법
하류 인생으로 향하는 아이의 모습을 보기 싫다면 • 오감을 자극하지만 서서히 무감각해지는 곳 • 만일 내가 다시 아들을 키운다면 • 자신의 몸을 쇠사슬로 의자에 묶는 마음으로 • 아예 노트북이 낫다. 대신에… • 영어 단어를 꼭 게임으로 외워야 할까?
에필로그. 아들이 돌아왔다
ㆍ지은이 김평범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