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와 질병 사이에서 품격을 지키는 법
말기 암 환자가 된 의사가
삶의 끝에서 준비하는 우아한 죽음
의사의 시선으로 삶과 죽음을 성찰한 《참 괜찮은 죽음》의 저자 헨리 마시의 신작 《죽음에도 지혜가 필요하다》가 출간됐다. 마지막이 될 이 책을 집필하면서 헨리 마시는 70대가 되어 은퇴를 하고 전립선암 4기 판정을 받은 자신의 삶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이 책은 말기 암 환자가 된 의사가 우아한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 삶의 끝에서 가장 나다움을 되찾는 여정을 솔직하게 담고 있다.
이 책을 두고 개빈 프랜시스, 레이첼 클라크, 클레어 챔버스 등 내로라 하는 작가들은 산문의 아름다움과 생각의 힘이 어우러진 책이라고 높이 평했으며 《황금나침반》을 쓴 판타지 문학의 거장 필립 풀먼은 “이 책을 존경한다”고 극찬한 바 있다. 오은 시인은 “몸을 살피기 위해 떠난 배가 생애의 파도를 넘고 넘어 마침내 희망이라는 항구에 도착하는 씩씩한 책”이라고 추천했고, 《마흔에 읽는 니체》를 쓴 장재형 작가는 이 책이 “죽음에 다가갈수록 영원한 삶이 아닌,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하라고 말한다”며 추천의 글을 썼다.
죽을 때 필요한 지혜는 무엇일까
준비와 인내를 거쳐 행복에 도달하는 담담한 여정
노화와 질병 속에서 자존감과 품격을 지키기란 쉽지 않다. 말기 암 환자가 된 저자는 거대 의료 시스템 속 약자로 전락한 자신의 처지를 솔직하게 인정한다. 환자가 되고 나서야 자신이 특별할 것 없는 보통 사람이라는 사실을 겸허하게 깨달았다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 단지 병에 걸렸기 때문만은 아니다. 자신을 믿고 찾아와준 환자의 수술을 다른 의사에게 맡겨야 했을 때, 히말라야의 거대한 자연 앞에서 한없이 작은 자신의 존재를 느꼈을 때, 요실금으로 여분의 속옷을 항상 챙겨야 했을 때, 손녀들에게 줄 인형 집을 만들 때…… 보통의 사람들이 나이 듦과 동시에 느끼는 감정들이다.
《참 괜찮은 죽음》이 삶과 죽음을 교차하며 떠올린 통찰이었다면 《죽음에도 지혜가 필요하다》는 우아하고 지적인 죽음을 위한 명상과도 같다. 헨리 마시는 오만함과 까칠함을 내려놓고 비로소 편안해졌다고 고백한다. 자신히 흠뻑 취해 있던 태양빛을 이제는 후배와 후손들이 누릴 차례라면서. 이 책에서 공유했듯, 부정과 인내를 거쳐 행복에 도달하는 의식의 흐름은 나이가 들어가는 모든 사람이 거치게 되는 과정이다. 나이가 든 독자들은 공감하면서, 나이가 덜 든 독자들은 예감하면서 읽어보면 그 깊은 의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프롤로그
1장. 부정, 받아들일 준비
내 뇌가 노화 중이다
뇌를 대하는 철학과 의학의 차이
팬데믹을 버틴 자의 기억
나는 좋은 의사였을까
잠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인간의 죽음을 보여주는 기록들
우크라이나에서 할 수 없는 뇌수술
내 죽음 후에 남겨질 것들
2장. 파국화, 비관적 인내
병원은 누구를 위한 공간인가
의사에게 미처 하지 못한 질문
신체의 유통기한
생명 연장의 빛과 그림자
뇌는 어떻게 인간의 의식에 작용하는가
실패를 인정하는 의사
3장. 행복, 남은 날들을 위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으며 떠올린 것들
내가 조력 죽음에 찬성하는 이유
마음을 움직이는 의사의 대화법
과거, 현재, 미래는 함께 존재한다
에필로그
ㆍ지은이 헨리 마시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