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벗·이지톡

도서 인문/교양 심리

“왜 이것은 사랑이 아닌가”

관계 의존을 벗어나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내면의 여정

융 심리학의 권위자 제임스 홀리스는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에서 중년의 위기와 진정한 자기와의 만남을, 《남자로 산다는 것》에서 남성의 생애와 심층심리를 고찰해왔다. 신간 《사랑의 조건》에서는 부부, 연인 등 친밀한 관계에서 비롯되는 심리적 고통의 원인을 파고든다.

 오랫동안 융 심리학 전문가로 강연 활동을 해온 제임스 홀리스가 현장에서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바로 ‘관계’에 관한 것이었다. 사람들은 강연이나 발표 제목과 아무 상관 없이 애정관계에 관한 질문을 쏟아냈다. 《사랑의 조건》은 이렇듯 어디에나 존재하고 중요하며 (때로는 과대평가되기도 하는) 긴급한 문제로서 애정관계의 심리적 역학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이 책은 관계 문제를 해결하는 법에 관한 실용적 지침이 아니다. 그보다는 우리 시대 사람들이 관계에 관해 가진 ‘환상’을 절묘하게 깨뜨리면서, 우리가 관계의 본질을 성찰하고, 관계 속에서 개인의 책임이 되는 목표를 발견하며, 타인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성장 자체를 갈망하도록 촉구한다.

 

 

‘마법 같은 나의 반쪽’이라는

이룰 수 없는 갈망을 둘러싼 심리학적 고찰

현대인의 내면에는 ‘나에게 꼭 맞는 누군가’라는 치명적 환상이 자리한다. 이른바 ‘마법 같은 타자’, ‘완벽한 동반자’를 찾아 떠나는 여정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시작하며, 이를 저자는 ‘에덴 프로젝트’라고 부른다. 환상적인 자신의 반쪽을 찾아 잃어버린 낙원 ‘에덴동산’으로 돌아가려는 원초적 갈망이 낳은 이 프로젝트는 우리의 무의식에 자리 잡은 채 평생의 과제가 된다.

이 책을 관통하는 한 가지 사상이 있다면, ‘우리가 타인과 맺는 애정관계의 질은 우리가 자기 자신과 맺는 관계와 정비례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경험하는 연애의 깊이, 방향, 주요 요소는 모두 최초의 관계 경험에서 비롯된다. 그리고 이것이 내면화되어 우리 자신과 맺는 무의식적이고 현상적인 관계가 된다. 이 사실을 인정하고 나면 자기 자신과 타인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초월적 존재와도 교류하는 방식의 원천인 ‘자기감’이 어디에서 기원하는지 탐구해야 할 이유가 뚜렷해진다.

 

‘나’는 왜 그를 사랑하는가: 진정한 자기를 찾아라

우리는 자신을 온전히 알고 있다고 생각해도 실제로는 늘 부분만을 알 뿐이다. 융이 인간의 전체 지향성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자기Self’라는 개념은 그 자체로 완전히 알 수 없는 존재이며 그것이 가진 의도를 ‘읽어내는’ 것은 융 심리학 기반 심리치료의 가장 핵심이 된다. 그래서 이 책은 ‘관계’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해 ‘나 자신’을 파고들었다가 다시 ‘관계’ (또는 더 넓은 관계)로 돌아간다.

나 자신에 대해 모르는 모든 것은 사랑하는 상대에게 무의식적으로 ‘투사’된다. 우리는 사랑의 고통에 울지만, 그 기원이 자기에게 있음을 알지 못한다. 타인을 타인 자체로 사랑하려면 우리 내면의 상처 입은 에로스를 만나 투사를 알아차리고 거둬들일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영웅적 용기’다. 


연애관계의 네 가지 원리

1. 내가 나 자신에 관해 알지 못하는 것(무의식의 계획), 또는 내 내면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것(그림자)은 타자에게 투사된다. 

2. 나는 어렸을 때 겪은 상처(개인의 병리학), 유아기의 갈망(낙원으로 돌아가겠다는 자기애적 동기), 그리고 개성화를 이뤄야 한다는 책무를 타자에게 투사한다. 

3. 타자는 내 상처, 내가 가진 자기애, 내 개성화를 책임질 수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된다. 투사의 자리는 결국 후회와 권력의 문제로 채워질 뿐이다. 

4. 망가지는 연애관계의 유일한 치료법은 나의 ‘낙원으로 돌아가기’ 프로젝트를 의식 수준으로 불러내어 개성화 과정을 내가 스스로 책임지는 것이다.

무의식의 명령을 벗어나, 사랑하는 법을 다시 배우기 위하여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내가 타자와 맺은 모든 관계의 성격은 바로 나 자신과 맺은 관계에서 파생된다. 반려자나 연인에 대한 사랑, 동료 사이의 우정, 신을 향한 관점과 믿음, 이 모든 관계의 심리적 역학이 자기 자신과의 관계로부터 무의식적으로 표출된다. 그러니 타자와 최상의 관계를 유지하려면 우리는 먼저 자신과의 관계부터 의식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관계에서 비롯된 고통에 지쳤다면, 번번이 형편없는 사랑에 낙담하고 울어왔다면, 자신을 믿고 사랑하는 데서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 소중한 타자에게 줄 수 있는 가장 멋진 선물은 최선의 자기다. 자신의 내면을 직시해서 계속하여 겸손해지려면 ‘용기’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타자라는 존재를 있는 그대로의 타자로 받아들여 사랑하기 위해서는 ‘관용’의 힘이 필요하다.

타인과의 관계를 잘 만들어가고자 한다면, 역설적이지만 나 자신을 찾아 떠나는 여행에 확신을 가져라. 

 

타자를 존중하는 이런 태도를 설명해주는 단어는 ‘경외’다.

모호함에 가득 차 있으면서도 이를 긍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를 설명해주는 단어는 ‘용기’다.

그리고 타자의 다름을 공경하는 경험을 설명해주는 단어는 바로 ‘사랑’이다. _6장. 당신 안의 신

목차

머리글 유리창에 부딪치는 새

들어가며

 

1장 잃어버린 낙원 - ‘자기Self’를 찾아서

2장 에덴 프로젝트 - 다시 하나가 될 수 있을까

 

에로스, 투사, 마법 같은 타자

사랑이라는 정신 나간 짓

투사는 내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가

투사에서 벗어나는 법

사랑, 관계, 영혼

 

3장 커플 - 만남과 헤어짐

 

공포를 다스리는 법

연애관계의 네 가지 원리

 

4장 상처받은 에로스 - 상처를 찾아가는 다섯 가지 이야기

 

어머니의 기대를 저버린 아들

피로 물든 어두운 강의 신

애빌린의 역설

돌보는 사람은 누가 돌볼까

외로운 전사

상처받은 에로스를 위한 질문

 

5장 관계의 확장 - 영혼의 생명력이 있는 조직

6장 당신 안의 신 - 물보라 같은 눈길이 낙원을 향하다

 

영성과 영혼

신과 산책한 시인 세 명

나오며 잠 못 이루는 두 사람

융 심리학 용어 설명

주석

참고문헌

더보기접기

저자

ㆍ지은이 제임스 홀리스

지은이 소개
스위스 취리히의 융 연구소에서 정신분석을 공부한 뒤 미국 워싱턴에서 융 학파 정신분석가로 활동 중이다. 융 심리학 대중서 15권을 집필했으며, 첫 책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와 더불어 여러 권이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에 소개되었다. 홀리스는 마흔에 겪는 위기를 ‘중간항로’라 표현하며 이 시기를 현명하게 보내기 위한 심리학적 가이드를 제시한다. 이 책은 1993년 출간 이후 30년에 걸쳐 미국에서 가장 까다로운 서평 그룹 ‘굿리즈’의 극찬을 받으며 많은 독자에게 울림을 주고 있다.

ㆍ옮긴이 김현철

옮긴이 소개
서울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한 뒤 자동차회사를 거쳐 영자신문 《코리아타임스》에서 기자로 재직했다. 다른 삶을 경험해보고 싶다는 이유로 안정적이던 직장생활을 마감하고 혈혈단신 유럽으로 건너가 지금은 독일 베를린에서 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사랑의 조건》 《남자로 산다는 것은》 《사는 데 정답이 어딨어》 등을 번역했다.

연관 프로그램

아래 프로그램은 길벗출판사가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안내해 드리니, 지원이 필요하면 해당 프로그렘 제작사로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