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검색이 할 수 없는 개인이 원하는 맞춤형 궁금증을 해소시켜주는 장치들을 마련했습니다. 기능별로 나누어진 색인 탭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찾기 쉬울 뿐만 아니라 연계된 기능을 한꺼번에 찾아볼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꼭 알아야 할 명령어 단축키와 함께 한글판/영문판 비교표와 동영상 해설이 있는 연습문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독자 기획단이 함께 연구한 머리에 남는 그래픽 툴 학습법을 만나 보세요! 이제는 취업 포털이나 편집 디자인 공모에서 인디자인 사용을 요구하는 일이 많아졌고, 특히 패션이나 뷰티 분야의 편집에서는 인디자인으로 편집하는 일이 표준화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실무 분야에서 쓰이는 만큼 어떤 것을 빨리 배워야 하는지 고민하는 일도 많아졌습니다. 이 책은 다양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저자가 모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기능을 빠르게 익히고, 거기에 덧붙여 분야 표준이 되는 실무 작업 프로젝트들을 담았습니다. 이 책에서는 그래픽 도서 독자기획단들과 함께 한두 번의 예제 실습만으로는 익히기 힘든 인디자인을 재미있게 배우면서도 머리에 남을 수 있도록 여러 장치들을 만들었습니다. 초보자라고 할지라도 자기가 어떤 기능을 배웠는지 체크하고, 후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만든 색인 탭은 인터넷 검색보다 더 편리하게 다가올 것입니다. 그리고 책에 실린 모든 기능들이 어떤 버전에서 구동이 되는지도 버전 아이콘으로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고, 세세한 옵션 설명은 이미지로 설명하여 더욱 이해하고 보기 쉽습니다. 인디자인은 다른 어도비 프로그램과의 뛰어난 연동성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빠르게 보급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연습문제와 활용예제를 통해 편집 및 디자인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활용되는 인디자인 실무에서 요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을 집중적으로 익힐 수 있고, 응용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ㆍ지은이 이민기
커뮤니케이션 디오 대표
1999년 Design F.O.B의 광고 그래픽 디자이너로 시작해 이경민 아트스쿨 C.I. 및 잡지 광고, 각종 통신사 광고의 그래픽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시공사의 인테리어 잡지 와 영화 전문지 <스크린>을 편집 디자인하였고, 중앙 M&B 패션 잡지 에서 수석 디자이너로 일했다.
2006년 열정을 가진 실무 디자이너들과 함께 크리에이티브 편집 디자인 전문회사 ‘커뮤니케이션 디오(Communication DO)'를 오픈하였다. 지금도 현업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독자가 재미있고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을 디자인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브로슈어 디자인
2009 서울 디자인 올림픽 홍보물 디자인
한경희 ‘아토스팀’ 온라인 및 인쇄 광고 디자인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정기간행물 편집 디자인
패션 잡지 , 영화 전문지 <스크린> 등 국내 다수 잡지 편집 디자인
LG그룹 뷰티플렉스 월간지 편집 디자인
효성그룹 ‘LOHAS'', 나드리 화장품 ’헤르본‘ 정기간행물 편집 디자인
중앙 M&B 《효재처럼》 단행본 디자인
현대, 기아 자동차, 팬택 해외 홍보물
7mm 데지그라네 디자인팀 아트북 제작
국기원 공인품새교본 디자인
파주 영어마을 가이드 맵 디자인
제 17차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편집 디자인
그 외 광고 및 C.I. 디자인, 100여 종 이상의 단행본 디자인
《편집 디자이너를 완성하는 InDesign》
《책 잘 만드는 편집 레이아웃 디자인》
안녕하세요.
인디자인cs5 예제 사용시 텍스트깨짐에 대해 문의가 있어 답변 드립니다.
도서에 제공하는 DVD의 자료는 윈도우용 인디자인 한글판프로그램에 맞춰 제작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문판 인디자인 프로그램에서는 한글로 제작된 자료는 텍스트가 깨져나옵니다.
또한 호환문제로 맥킨토시 영문판 인디자인에서는 DVD가 전혀 읽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맥북 사용자께서는 홈페이지에 게시된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 이용해 주십시오. (아래 자료명 클릭)
예제파일, 동영상, 인디자인 CS5 시험판 프로그램 입니다.
도서를 한글판으로 출간한 이유에 대해 설명 드립니다.
독자님들의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 현재 저희가 보는 독자 시장에서는 아직도 한글 버전의 인디자인 사용이 많다고 보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책이 한글이다 보니 인디자인을 보통 출판 편집 관련 디자이너들이 주로 한글판 인디자인을 주로 사용합니다. 그것이 한글서체 이용에 있어서도 디자인적으로 작업하기 더 편하고 한글판에서 영문 사용이 그 반대보다는 더 용이 하다는 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예제도 한글판으로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