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중심 · 변화의 시작 · 혁신의 토대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6가지 습관을 들여다 본다.
인간성의 정수이자 인간관계의 핵심, 공감
공감능력이 없다는 것은 21세기의 문맹이나 다름없다
공감이란 “상상력을 발휘해 다른 사람의 처지에 서보고, 다른 사람의 느낌과 시각을 이해하며, 그렇게 이해한 내용을 활용해 당신의 행동지침으로 삼는 기술”이다. 공감 전문가이자 《옵저버The Observer》지에서 영국의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 철학자’로 거명한 대중철학자 로먼 크르즈나릭은 ‘삶의 기술Art of Life’로서 ‘공감’의 힘에 주목한다.
심리학과 뇌과학, 진화생물학 등의 분야에서 얻은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인간의 두뇌에는 이미 사회적 연결에 필요한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공감하는 능력은 거의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인간의 가장 소중한 재능 가운데 하나다. 타인과 감정적 연대를 맺지 못하는 사이코패스라든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사람들처럼 공감 능력이 없는 사람은 많아야 전체의 2%에 지나지 않으며, 나머지 98%는 천성적으로 공감능력이 있고 사회적 연대를 맺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아동심리학과 교육학, 그리고 비즈니스계의 여러 조사와 연구를 통해, 공감이야말로 인간 존재의 정수이자 관계 회복의 핵심이라는 인식이 늘고 있다.
자기중심적 경쟁에서 공감을 통한 협업으로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SNS가 대안적인 소통을 이끌고 집단지성이 놀라운 결과를 내놓는 21세기에 접어들어, ‘자기중심주의’라는 열망은 시대에 뒤떨어진 사고방식이 되어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 우리는 여전히 심각한 공감 결핍에 시달린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고, 어른들은 무한경쟁을 부르짖는 직장이나 군대 또는 가정에서 폭력과 갈등에 시달린다. 현대인은 곳곳에서 일어나는 대형 참사를 미디어를 통해 목격하면서도 아무 생각 없이 무덤덤해지는 ‘공감피로’에 시달린다. ‘공감의 힘’에는 주목하되 ‘공감이 부재하는’ 현실에서, ‘공감하는 능력’은 본질적인 변화를 위해 우리가 꼭 갖춰야 할 특성이다.
공감은 자신의 관심사가 다른 모든 사람의 관심사가 아니며, 자신의 필요사항이 다른 모든 사람의 필요사항이 아니라는, 그리고 매 순간마다 어느 정도는 타협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깨닫는 것입니다. 나는 공감이 (…) 최대한 충만하게 살기 위한 방식, 끊임없이 발전하는 방식이라고 봅니다. _ 여는 글 ‘공감의 위력’ 중에서
여기, ‘공감’을 통해 자기 자신과 조직, 사회를 바꾼 사람들이 있다. 크르즈나릭은 베스트셀러 소설가, 연기파 배우, 사회활동가, 독창적인 디자이너, 탐사보도 전문기자, 중증외상환자 담당 간호사, 투자전문 금융인, 신경과학자 등과 만나면서 전례 없는 정신적 모험으로 우리를 이끈다. 그는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어떻게 타인들과 자신의 삶을 연결시키는지, 또 어떻게 모두의 삶을 고무시키는지를 그들의 공통적인 습관 6가지를 통해 보여준다.
미국 전역을 80대 할머니의 모습으로 전전한 패기 넘치는 젊은 디자이너, 갓난아기를 선생님 삼아 진행되는 영국과 캐나다 등지의 초등학교 수업 시간, ‘권위에 복종하는’ 인간 본성에 관한 밀그램의 실험에 대한 반박, 소비자나 직원들과의 대화를 통한 공감을 하나의 가치로 만들어가는 기업이나 기업인 등 공감으로 세상을 바꾼 이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자.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6가지 습관
* 첫 번째 습관 : 두뇌의 공감회로를 작동시킨다
자신의 정신적 프레임을 바꿔보는 습관. 공감이 인간 본성의 핵심에 있으며, 평생에 걸쳐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 두 번째 습관 : ‘상상력을 발휘해 도약’한다
타인의 처지에 서서 그들의 인간성과 개성, 관점을 인정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습관. ‘타인’에는 ‘적’까지 포함한다.
* 세 번째 습관 : 새로운 체험에 뛰어든다
자신의 삶과 문화와 상반되는 것들을 직접체험, 공감여행, 사회적 협력 등을 통해 탐사한다.
* 네 번째 습관 : 대화의 기교를 연마한다
낯선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 철저하게 듣는 습관, 그리고 감정을 가리는 가면을 벗어던지는 습관을 키운다.
* 다섯 번째 습관 : ‘안락의자 여행자’가 되어본다
예술·문학·영화, 그리고 소셜네트워크시스템(SNS)을 통해 다른 사람의 마음속으로 여행을 떠나본다.
* 여섯 번째 습관 : 주변에 변혁의 기운을 불어넣는다
대규모로 공감을 이끌어내어 사회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나아가 자연계까지 포용할 수 있도록 공감의 폭을 넓힌다.
ㆍ지은이 로먼 크르즈나릭
"공감의 시대를 통찰하는 라이프스타일 철학자"
《옵저버The Observer》지에서 영국의 대표적인 ‘라이프스타일 철학자’로 거명한 철학자, 문화사상가이자 작가. ‘삶의 기술’을 주제로 다루는 런던 인생학교School of Life의 창립 교수진이었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공감 전문가이며, 공감과 대화를 활용해 사회변화를 창출하는 분야에서 옥스팜이나 유엔 등의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한다. ‘공감의 힘’을 이야기하는 RSA 애니메이션 동영상 <외성의 힘The Power of Outrospection>은 50만 명 이상이 시청했다.
시드니와 홍콩에서 성장기를 보내고 옥스퍼드, 런던대학교에서 공부한 뒤 에섹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캠브리지대학교, 에섹스대학교, 런던시립대학에서 사회학과 정치학을 강의했으며, 중앙아메리카에서 난민과 원주민의 인권 연구조사를 수행했다. 그는 개인적, 직업적, 문화적 생활에서 용기와 독창성을 자극하는 전위단체 ‘옥스퍼드 뮤즈’의 기획책임자로 여러 해 일해 왔다. 또한 공감과 삶의 기술을 주제로 하는 블로그 www.outrospection.org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저서들은 10가지가 넘는 언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로먼 크르즈나릭은 열광적으로 리얼테니스(옛날 식 실내 테니스)를 즐기고, 정원사로도 일했으며, 가구제작에도 열정을 갖고 있다. 지금은 세계 최초의 공감 박물관을 세우려는 열망을 실현시키려고 노력하는 중이다.
저서로는 《원더박스: 낯선 역사에서 발견한 좀 더 괜찮은 삶의 12가지 방식》, 《인생학교 ‘일’: 일에서 충만함을 찾는 법》, 《최초의 아름다운 경기: 리얼테니스 열광의 이야기》, 시어도어 젤딘과 함께 쓴 《미지의 대학 안내서》가 있다.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