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이 가르쳐주지 않는 건강한 삶을 위한 다정함의 놀라운 과학
사랑과 연결의 힘은 언제나 조용히 승리한다.
현대의학이 가르쳐주지 않는 건강한 삶을 위한 다정함의 놀라운 과학
* 《사이언스》가 주목한 연구 결과!
*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등 미국 주요 언론이 선정한 화제의 책!
* 정재승 교수, 아서 바스키 하버드의대 교수 등 강력 추천!
건강한 삶의 해답은 의학이 아닌 사회학 속에 있다!
코로나로 관계망이 단절된 요즘, 소통의 부재와 외로움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친절, 신뢰, 공감 등 서로의 감정과 살을 맞대는 지극히 인간적인 것들 속에 숨어 있는
건강과 행복의 비밀
√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데도 계속 아픈 까닭은 무엇일까?
√ 알코올 중독, 폭식 등의 이유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 때문이라고?
√ 특별히 식단 관리나 운동을 하지 않는데도 장수하는 비결은?
√ 친절과 사랑이 아이의 DNA를 바꾼다고?
√ 공동체 생활과 인간관계가 치매 걸릴 확률을 줄여주는 이유는?
매일 포옹을 받은 사람은 병에 걸릴 확률이 32%나 낮아진다고 한다. 컬럼비아 의대 정신의학 교수 켈리 하딩 박사는 풍부한 진료 경험과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가족관계, 교육수준, 사는 동네 등 건강과 사뭇 무관해 보이는 사회적 요인이 건강과 수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흥미롭게 분석한다. 따뜻하게 안아주는 애정, 격려하고 응원하는 우정, 이해하고 공감하는 친밀감 등의 감정은 우리를 질병에 덜 걸리게 하고, 더 오래 살게 해준다. 현대의학이 그동안 집중하지 않았던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과학적이면서도 풍부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명쾌하게 설명한다.
추천사_ ‘다정함’은 진통제이자 치료제, 비타민이자 영양제_정재승(뇌과학자)
들어가며_ 우리가 의학에서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Part 1. 건강의 숨은 요인
Chapter 1.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_ 진료실 밖에서 발견한 건강의 진정한 의미
Chapter 2. 일대일 관계_ 친밀한 단 한 명의 사람만 있더라도!
Chapter 3. 사회적 연결_ 사람은 결코 홀로 살아갈 수 없다
Chapter 4. 직장과 일_ 직업은 돈을 버는 수단인가? 아니면 만족감의 원천인가?
Chapter 5. 교육_ 일상에서 발견하는 자신만의 목적의식과 열정
Chapter 6. 동네와 이웃_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의 삶을 결정한다
Chapter 7. 공정성_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
Chapter 8. 환경의 영향_ 역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법
Part 2. 건강의 본질적 요소
Chapter 9. 개인의 건강_ 몸과 마음의 연결고리 찾기
Chapter 10. 집단의 건강_ 불친절함에 맞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법
결론_ 건강은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 속에 숨어 있다
나가며_ 영원한 수수께끼
ㆍ지은이 켈리 하딩
ㆍ옮긴이 이현주
저작권 안내
연관 프로그램
독자의견 남기기